마스터링 체인의 모든 단계에서 가장 먼저 이해해야할 점은
적은 양의 프로세스로도 트랙의 인식이 높아질 수 있다는
것입니다
간단히 말해 이것은 실제로 리미터에서 소리가 크게 들리지
않더라도 큰 볼륨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
많은 사람들이 큰 볼륨을 원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음악의 역동성을
잃게 만들고 인식되는 음량은 증가하지만 왜곡을 발생시키고
음악의 전체적인 생동감까지 잃을 수 있습니다
마스터 레벨을 무조건 높이지 말고 리미터가 하는 일과 적정 볼륨을
달성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어느때보다 꽉찬 사운드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
반응형
'Audio Know Ho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MS 와 피크레벨 (0) | 2018.05.26 |
---|---|
베이스 트랙 음량 결정 팁 (0) | 2018.05.22 |
킥드럼 필터링 하는법 (0) | 2018.05.09 |
DJ Stems파일을 얻을 수 있는 사이트 (0) | 2018.05.04 |
베이스 기타의 컴프레션 사용법 (0) | 2018.04.2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