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미터를 사용하는 것은 특정채널에 일종의 오디오
안전망을 만들어 주는 것과 같습니다
사운드에 프로세싱을 적용하면 약간 불안전한
다이나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
피크는 가벼운 컴프레스나 코러스, 딜레이, 리버브
등을 사용할 수 록 발생가능성이 높아집니다
대부분의 경우 피크발생시 음악의 역동성을 잃지
않기 위해 전박적인 레벨을 제한하는 리미터를
사용합니다
하지만 리미터의 사용이 원래의 다이나믹을
손상 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릴리즈 컨트롤을
지원하는 리미터를 사용함으로 투명한
오디오 리미팅이 가능하고 적은 양의 게인감소
만을 적용하여 최적의 상태를 도달할 수 있습니다
반응형
'Audio Know Ho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리셋 설정 저장의 중요성 (0) | 2018.03.12 |
---|---|
딜레이를 이용한 스테레오 연출법 (0) | 2018.03.11 |
DJ 프레이즈를 쉽게 만드는 방법 (0) | 2018.02.25 |
깨끗한 믹싱을 위한 필터링 요령 (0) | 2018.02.22 |
디에서(De-Essing)의 역할 (0) | 2018.02.21 |
댓글